내일투어

자주 묻는 질문

검색결과

Q.[개별자유] [호주] 호주의 화폐, 전이 궁금합니다.
호주의 화폐 단위는 호주 달러입니다. 지폐는 100달러, 50달러, 20달러, 10달러, 5달러가 통용되며, 주화는 5센트, 10센트, 20센트, 50센트, 1달러 그리고 2 달러가 통용됩니다.
전은 은행, 호텔, 국제 공항에서 할 수 있습니다. 호주 은행은 유럽의 다른 나라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며 자동 입출금기(ATM)도 쉽게 찾아볼 수 있지만, 오지 마을이나 아웃백에서는 이런 시설을 찾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호주에서는 EFTPOS도 널리 통용됩니다. 해외 계좌에서 인출할 때에는 취급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Q.[개별자유] [캄보디아] 전은 어떻게 해야하나요?
 캄보디아의 화폐 단위는 리엘(릴, KHR) 입니다.
다만 외국인 뿐만 아니라 현지인들도 달러를 사용하고 있으며 편의점이나 마트, 시장 등은
리엘로만 받는 곳도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리엘 전이 되는 곳이 없어 달러로 전 후
현지에서 리엘로 일부 전해주시면 됩니다.
Q.[개별자유] [태국] 비행기로 이동시간이 궁금합니다.
한국에서 태국까지 비행기로 보통 6시간이 소요됩니다.

직항이 아닌 다른 도시라 승하실 경우, 1-2시간 더 소요되실 수 있습니다.
Q.[개별자유] [태국] 전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태국의 기본화폐는 바트화로 여행 출발 전 시간이 된다면 미리 바트로 전을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1인 1일 3만원 정도로 계산하여 바트로 전하시고 나머지 여윳돈은 달러로 전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현지 호텔이나 마사지샵,  투어 업체에서는 달러로 계산이 가능하며,  쇼핑몰이나 레스토랑 등에서 카드 사용도 가능합니다. 대부분의 바트는 팁(보통    40바트)을 주거나, 택시나 로컬 음식점을 이용할 때 사용하게 되기 때문에 수시로 잔돈을 만들어 두는 것이 좋습니다. 달러는 팁을 위한 1달러짜리를 제외하고는 100달러로 준비해두면 현지에서 바트로 전시 좋은 율이 적용됩니다.

Q.[개별자유] [유럽] 전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주요 국가별 화폐는 아래와 같습니다.
* 영국 : 파운드
* 스위스 :  스위스 프랑
*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그리스,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핀란드 : 유로
* 체코 : 코루나
* 헝가리 : 포린트
* 터키 : 리라
보통 하루 경비는 8~10만원 가량 예상 하시면 되며 중식, 석식 비용과 1~2개 관광지 입장료와 1일 교통권 정도를 포함합니다.
체코, 헝가리, 터키 등의 국가 화폐는 국내 보유분이 많지 않아 유로 또는 달러 전후 현지에서 재전하는 방법도 추천해 드립니다.
카드 사용시에는 현금 5 : 카드 5, 현금 6 : 카드 4와 같이 고객님 선호 패턴에 맞추어 사용 하시면 됩니다.
 
Q.[개별자유] [유럽] 쉥겐조약이란 무엇인가요?
솅겐 조약(Schengen agreement)은 유럽 각국이 공통의 출입국 관리 정책을 사용하여 국경 시스템을 최소화해 국가 간의 통행에 제한이 없게 한다는 내용을 담은 조약으로 항공 이동시 중간 승지가 쉥겐조약 가입국가일 경우 승시 여권심사 처리를 받으며 최종 입국지에서는 입국심사를 받지 않습니다.
쉥겐조약가입국가는 아래와 같습니다.  벨기에, 프랑스, 독일,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포르투갈, 스페인,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그리스, 덴마크, 스웨덴, 핀란드,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체코, 에스토니아, 헝가리,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몰타, 폴란드,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스위스, 리히텐슈타인 
Q.[개별자유] [라오스]전은 어떻게 해야하나요?
라오스에서는 라오스 화페(낍)을 사용 합니다.
다만 한국에서 '낍'을 취급하는 은행을 찾아보기는 힘듭니다.
따라서 달러(US$)로 전해서 가야하며,
전한 달러는 라오스에서 다시 낍으로 재전해 사용해야합니다.
아직 라오스에서는 신용카드 사용이 불편하고, 사용을 하더라도 해외인 만큼 은행마다 3~4%의 별도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낍은 다시 한국에서 재전하기가 굉장히 불편합니다.
따라서 너무 많은 돈을 전하기보다는, 낍이 최대한 남지 않도록 조금씩 전하고 달러를 남겨오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Q.[개별자유] [일본] 일본은 충전 어댑터가 다른가요?
 우리나라에서는 220v의 어댑터를 이용하고 있지만, 일본은 110v의 어댑터로 이용해야합니다.
을 위해서는 변압기(돼지코)를 이용해야합니다.
호텔에 변압기가 준비되어있는 곳도 있지만 그러지 않은 호텔들도 있어, 여행 준비물로 준비해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Q.[개별자유] [라오스]라오스 면세 한도는 얼마인가요?

라오스의 통관관련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술 : 위스키 등 증류주 1리터, 와인 2리터

2. 담배
   - 궐연(Cigarette) 200개피
   - 시가(Cigar) 50개피
   - 엽연초(Tobacco) 250g

3. 면세한도금액(일반면세기준) : 개인당 $50(판매 목적으로 다량을 들여올 경우 문제 삼고 있음)

4. 외국신고 : 현금 20,000,000Kip(또는 이에 상당하는 외국) 초과 또는 100,000,000Kip 초과 상당 
                       귀중품 소지시 라오스 중앙은행이나 세관에 신고해야 함.

5. 수입목적 의약품, 도서, CD, 화학약품, 동식물 반입시에는 관계기관의 허가 필요

6. 금지품목 : 무기류, 폭발물, 음란물, 부처그림, 골동품 등

* 기타 유의사항 : 형법 46조에 의거, 마약 관련 범죄에 연루될 경우 사형선고까지 받을 수 있음.

Q.[개별자유] [필리핀]전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필리핀의 기본화폐는 페소로 여행 출발 전 시간이 된다면 미리 페소로 전을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단,
1만페소 이상은 입국 시 신고를 해야 하며, 너무 많이 페소로 전을 하면 우리나라로 다시 가지고 와 달러나
원화로의 재전 시 많은 수수료가 적용됩니다.
보통 1인 1일 3만원 정도로 계산하여 페소로 전하시고 나머지는 달러로 전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현지 리조트나 마사지샵, 투어 업체에서는 달러로 계산이 가능하며, 쇼핑몰이나 레스토랑 등에서 카드 사용도
가능합니다.
Q.[개별자유] [싱가폴]싱가폴 교통가드 종류는 어떤게 있나요?
싱가폴을 여행할 때 사용하는 카드에는 크게 세가지가 있습니다.
[이지링크]
MRT와 버스 모두 탑승이 가능한 충전식 교통카드
최초구입가 : 보증금 S$5 + 충전금 S$7 = 총 S$12
주의 : 잔액이 S$3 미만이면 사용이 불가
       충전은 S$10이상부터 가능
잔액이 S$10이상이면, 보증금 S$5를 제외한 금액 불가능
구입장소 : MRT역 또는 버스 정류장 근처에서 구입&충전가능

[스탠더드티켓(standard Ticket)]
MRT 탑승이 가능한 1회용 교통카드 (충전사용)
구매한 날로부터 30일 이내 6번까지 탑승이 가능하고
출발/도착 역에 따라 요금이 달라진다.
사용법:한번 사용후, 다음에 사용할때 티켓 기계에서 출발지와 목적지를 설정한 후 화면에 나타나는 금액만큼 충전해서 사용(사용할때마다 충전해야함)
금액: 처음 구매할때 원래 요금 + 10센트(보증금)
      3번째 사용시 원래 요금 - 10센트
      6번째(마지막 사용시) 원래요금 - 10센트

[싱가폴 투어리스트 패스 (Singapore Tourist Pass)]
 1일 S$10로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여행자 전용 교통패스 입니다. 충전은 이지링크 교통카드 충전할 때와 동일하게 이루어집니다. (단, 여행 종료 후 패스 안에 금액이 남아있을 경우에는 불이 불가능합니다.)
싱가폴 MRT역 내 트랜짓링크 티켓 오피스에서 구매 가능합니다.
1일권 : S$10 , 2일권 : S$16, 3일권 : S$20 + 보증금 S$10 (불불가)
Q.[항공] 항공권이 발권된 후 날짜 변경을 원합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해당 항공권 요금 규정에 준수하여 항공권 결제가 완료된 후에는 변경/불 불가 또는 변경/불시 운임차액 및 수수료가 징수될 수 있습니다.
변경원하시는 날짜를 마이페이지내 [온라인상담 요청]을 통해  문의남겨 주시면 담당자가 확인 후 안내 드립니다.
Q.[항공] 수하물 관련 공지사항
코로나 이후 전 세계 항공 수요 급증으로 각국 공항에서의 수하물 분실이 증가 하고 있습니다.
특히 경유편으로 이동 하는 경우 분실 빈도수가 늘어날 수 있어 여행을 준비하시는 고객님들께서는 각별한 주의 부탁드립니다.
귀중품이나 필수 약품 및  2-3일 여유 옷가지등은 짐을 분산해서 기내용 수하물 이용을 권장드립니다,
■ 지연·파손 대비해 수하물표 반드시 보관
위탁 수하물이 도착하지 않았다면, 탑승한 항공편의 항공사 안내 데스크에서 수하물표를 제시하고 신고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정보가 수하물표이기 때문에 탑승수속 때 직원에게 받은 수하물표를 버리지 않고 잘 보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부 항공사의 경우 수하물표를 소지하지 않은 경우 신고 접수나 배상을 거부하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 바랍니다.
■ 수하물에 영문 이름 및 연락처 기록
수하물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하물에 이름 및 연락처를 기록해 두시길 바라며
이름과 주소지 그리고 목적지 등을 해외에서도 누구나 알아볼 수 있도록 영문으로 표기하는 게 좋습니다.
가방에 부착된 수하물 태그(Tag)가 떨어지더라도 이름으로 가방 주인이 누구인지, 어떤 여정으로 여행하는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승 여정 주의사항
승여정 승객의 경우, 공항에서 탑승수속 시점에 수하물을 수취하여야 할 공항을 반드시 확인하셔애합니다.
여정에 따라 수하물이 최종목적지까지 연결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정확하게 어느 공항까지 연결되는지 파악해야 수하물을 수취하지 못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위탁수하물이 공항에 도착하지 않았을 때
간혹 항공사 카운터에서 부친 위탁수하물이 목적지에 도착하지 못할 때가 있습니다.
수하물을 분실했다면 카운터에서 받은 Baggage Tag 혹은 Claim Tag을 해당 항공사 직원에게 제시하고 분실 신고서를 작성합니다.
대부분은 수하물 연결이 원활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경우인데 숙소 주소를 적어주면 2~3일 안으로 택배로 배송을 해주는 편입니다.
수하물이 도착하기 전까지 필요한 생필품은 구입 후 반드시 영수증을 보관 해야 합니다.
(추후 한국도착 후 해당 항공사에 수하물 지연에 따른 보상 요청시 영수증 첨부필수)
자세한 사항은 각 항공사의 수하물 관련 지침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Q.[항공] 신용카드 결제 후 다른 카드로 변경할 수 있나요?
불가능합니다. 항공권은 결제 정보가 포함되어 티켓이 발권된 상태이기 때문에 다른 카드로의 결제를 원하시면 불 후 신규 항공권으로 발권해야합니다. 이때에는 불 규정의 적용을 받기 때문에 결제방법의 변경이 아니라 기존의 항공권의 불수수료를 공제 후 신규 항공권을 발권하는 것이 됩니다.
Q.[항공] NO-SHOW란 무엇인가요?
항공권을 구매하신 후 항공사나 여행사에 아무런 연락 없이 탑승하지 않는 것을 No-show라고 합니다.
과거에는 항공사들이 No-show를 하는 고객에 대해서 따로 수수료 부과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No-show로 인한 
좌석 관리의 어려움으로 인해(특히 성수기) No-Show시 그 항공권을 다시 사용하지 못하거나, 혹은 수수료를 내도록 하는 규정을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현지에서 정해진 날짜에 탑승을 못하거나 예약을 변경하실 경우 일반적으로 반드시 사전에 불과 별개로 예약 취소 요청을 하셔야 고객님께서 손실을 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여행사 업무시간 외에는 항공사 업무시간 내 사전에 예약만 취소요청하여 주시고 각 항공사별로 No-show 수수료 및 부과 시점은 다르오니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닫기/열기 TOP
입금안내
  1. 1. 국내/해외 실시간 할인항공권 구입 고객님께서는 반드시 마이페이지를 통해 결제를 진행하여 주십시오.
  2. 2. 입금 시 본인 실명이 아닌 경우 반드시 담당 직원을 통하여 입금 확인을 부탁드립니다.
  3. 3. 금융 사고 및 개인 정보 유출 피해 방지
    • - 고객님의 개인 정보(휴대폰/전화번호, 이메일, 주민번호 등)는 게시판에 입력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 - 개인 정보 입력 시 보이스피싱 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 - 내일 투어는 직원 및 기타 개인 명의의 계좌 번호를 절대 입금 받지 않습니다.
    • - 직원 명의나 기타 개인통장으로 입금 요청을 받은 경우, 지체 없이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구분 부서 계좌번호
서울본사 유럽 630-005934-489
630-007214-726
홍콩|마카오 630-005934-496
동남아 630-005934-561
일본 630-005934-585
중국 630-005934-539
미주|대양주|인도 630-005934-514
호텔돌핀스 630-006649-463
내일스토어 611-017171-531
실시간 항공 예약건 별 가상계좌를 부여하며 법인계좌 입금 시 확인이 불가합니다.
닫기